외국인 근로자 도입 상담하기

(주)GK GLOBAL에서 (주)GK아너스로 상호가 변경되었습니다.

The name has been changed from GK GLOBAL Co., Ltd. to GK Honors Co., Ltd. 

외국인 근로자 채용 알선 / VISA대행 / VISA변경,  외국인 행정업무 전문 기업 

Recruitment of foreign workers / VISA agency / change of VISA
an enterprise specializing in foreign administrative affairs

스리랑카 전문근로자 송입을 위한 대사관 실사

    스리랑카 용접공, 계절근로자 등 전문인력 송입을 위해 스리랑카 대사관에서 

실사를 진행하였습니다

국내 송전선로 특정활동(E-7 VISA) 공급 준비가 완료 

국내 건설산업에 중추역활을 하는 인력 송전 설비 전기원 공급을 위한 준비를

마쳤습니다


공지사항 / 뉴스

GK아너스의  빠른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E-7 VISA 

[ E-7-3조선기능공/ E-7-1,4 전문인력 ]  


스리랑카(E8,E7)

스리랑카의 우수한인력들을 선발하기 위해 노력 하고 있습니다.


2025년 02월 25일 조선기능공  기량 점점 실시


2025년 스리랑카  E7-3 용접공 송입을 위한 

그 첫발을 GK아너스 에서 내 딛습니다. 

( 2025년 용접공 프리 테스트 150명 진행 )


스리랑카의 전문인력  조선기능공 E7 VISA(용접공,도장공,전기공)과 계절근로자 E8 VISA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있습니다.

SONA - 베트남 인력 송출 회사

베트남의 우수한 인력들을 선발하기 위해 노력 하고 있습니다.


  베트남 한국어 학원 및 용접시험 학원


베트남 현지 용접학원과 어학원 운영을 협력을

통해 우수한 인력들을 양성하고 있습니다.

[ 외국인 투자비자 ] 

외국인이 한국에 투자를 통해 한국에 거주할수 있는 투자비자


E-8 VISA [계절근로자] 

농촌 인력 문제 해결을 위한 단기 근로자


D-2, D-4 VISA [산학 협력]

( 유학생 유치 : 유학생, 어학당,간호,요양,가사,조선기능공 )


mobile background


 외국인 전문 케어서비스를 만나보세요
GK Care Service

 You Have to Happiness






 

  업무협약 현황  

     회사에서 진행하는 업무협약 현황을 한눈에 보실수 있습니다.


  GK 갤러리  

    GK GLOBAL의  생생한 현상의 모습을 보실수 있습니다.


  출입국.외국인 정책정보   

   외국인 이슈와 관련 정보를 공유 합니다.

[머니투데이]100만 외노자 시대 …숙련 '높이고' 업종 '넓히고' 체류기간 '늘리고'


입력2024.05.11. 오전 8:05 
 
수정2024.05.11. 오전 8:06
 기사원문
조규희 기자
  2
2
본문 요약봇
텍스트 음성 변환 서비스 사용하기
글자 크기 변경하기
SNS 보내기
인쇄하기



[100만 외국인력 시대, 우리 옆 다른 우리]<1회>필리핀 도장공 줄리어스씨의 하루③
[편집자주]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의 외국인 취업비자 소지자는 92만명을 넘어섰다. 한국은 현재 합계출산율 0.7명대의 인구절벽에 처해있고 2025년에는 생산가능인구가 줄어들기 시작할 것으로 보여 외국 노동인력 확대는 '선택'이 아니라 받아들여야할 '현상'이 됐다. 100만 외국노동시대를 앞둔 우리 사회가 '우리 옆 다른 우리'를 받아들일 준비가 돼있는지, 올바른 다문화 시대 조성을 위한 고민을 풀어본다.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이 13일 오후 경기 광주시 외국인 근로자 고용 사업장인 젠제노를 방문해 외국인 노동자 고용허가제 관련 산업현장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2023.9.13/사진=뉴스1  Copyright (C)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이 13일 오후 경기 광주시 외국인 근로자 고용 사업장인 젠제노를 방문해 외국인 노동자 고용허가제 관련 산업현장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2023.9.13/사진=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국내 체류 외국인이 250만명을 넘어섰다. 전체 인구 대비 5%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국내 인구 감소와 외국인의 증가는 자연스레 산업현장에서 외국 인력의 공급 확대로 이어진다. 어느덧 외국인 근로자 100만명 시대에 돌입한 지금, 미래 성장 동력의 한 축으로, 사회를 지탱하는 기둥으로 외국인이 자리매기함 하기 위해선 체계적인 인력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1일 법무부와 통계청 등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국내 인구 5132만5000명 대비 체류외국인은 250만8000명이다. 91일 이상 국내 상주하는 외국인은 143만명으로 이중 외국인 취업자는 92만3000명이다. 90일 이내 계절근로자, 단기 근로자를 합하면 100만명을 넘어섰을 것으로 예상된다.

외국인 근로자는 제조업, 건설업, 서비스업 등 사회를 유지하는 산업부터 가사·돌봄까지 지속적으로 근로 영역이 확대되는 추세다. 사람이 없어 공장이 멈추는 현실과 저출생·고령화에 따른 인구 절벽의 직접적 영향이다.

올해 3월말 기준 고용허가제를 통한 비전문외국인력(E-9)은 26만명으로 △제조업 80.6% △농·축산업 11.7% △어업 4.6% △건설업 2.9% △서비스업 0.2%에서 종사하고 있다. 산업 현장의 고질적 인력난을 해소하고자 지난해 12만명 수준인 E-9인력을 올해 16만5000명으로 확대한 효과다.

정부는 노동력 부족으로 성장 동력을 잃어가는 산업에 외국 인력 확대를 검토하고 있다. 내국인 취업 지원을 중심으로 하되 외국 인력을 적재적소에 활용하겠다는 의미다.

이르면 7월부터는 한식 음식점과 호텔, 콘도업에 4500여명의 외국인 근로자를 배정한다. 일 할 외국인을 채용할 수 있게 해달라는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시범사업 성격으로 추진한다. 임업과 광업 분야도 조만간 외국인을 수혈할 수 있다. 업종 외에 직종 기준도 확대돼 택배업과 공항 지상조업 상·하차 직종도 외국인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비전문인력의 숙련화도 추진한다. 단순 노무 보조에 그칠 수 있는 외국인력의 전문성을 강화해 산업 경쟁력을 제고하면서 체류·거주 의사도 넓히려는 계획이다. 주말 등을 활용해 △지게차·굴삭기 운전 △자동차 정비 △용접 △전기·전자 등 5개 직종에 대한 외국인 재직자 교육을 △금형 △도장 등으로 확대한다.

동일 사업장 근무경력, 어학능력 등을 요건으로 하는 장기근속 특례를 신설한다. 숙련을 형성한 외국인력에 대한 출국-재입국 과정 없이 계속 근무할 수 있도록 체류기간 등을 우대하는 방향이다.

일각에서는 장기적으로는 사업주가 원하는 수준의 직업능력을 갖춘 송출국 현지의 외국인력을 순력도 평가를 통해 도입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지난해 말 기준 22만6507명인 유학생을 활용하는 방안도 관계부처와 협의해 추진한다. 석사, 박사에 비해 대다수를 차지하는 전문학사 과정을 밟는 외국인의 경우 비전문인력 활용이 가능하다. 한국어 능력이 우수하고 국내 취업을 희망하는 유학생을 E-9 비자로 전환해 활용하는 방안이다. 가사·돌봄 영역에 대한 외국인력 확대도 본격 추진한다.

외국인 근로자 보호 조치 또한 강화된다. 조선업을 중심으로 다양한 국적 근로자 교육을 위해 대기업이 앞장서고 지방자치단체는 공공기숙사 확대를 통해 외국인력 배정에 우선권을 얻는다. 법적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 고용노동부는 사업장 합동·지도 점검을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이 22일 오후 서울 중구 노보텔앰배서더 동대문에서 열린 고용허가제(EPS) 귀국근로자 초청 행사에서 귀국근로자들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2023.11.22/사진=뉴스1  Copyright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이 22일 오후 서울 중구 노보텔앰배서더 동대문에서 열린 고용허가제(EPS) 귀국근로자 초청 행사에서 귀국근로자들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2023.11.22/사진=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세종=조규희 기자 (playingjo@mt.co.kr)

기자 프로필

머니투데이

 조규희 기자
구독



  Our Partners   

     GK GLOBAL과 함께  만들어가는  협력사들입니다.